변수(Variable)
* 이름짓기 (Naming)
> 저장된 값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의미있는(구체적인 수록 좋다) 이름
> 이 변수에는 어떤 값이 들어있는가? 에 대한 생각을 항상 하기
* 변수의 이름으로는 예약어는 사용하면 안된다.
(아래는 예약어 리스트 링크)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Lexical_grammar#keywords
* 어플 처리 과정
> 입력(input) -> 처리(process) -> 출력(output) -> 저장(storage)
* 처리(process)를 위해서는 데이터(data)를 임시저장할 공간이 필요하다.
> 변수(Variables) : 값을 저장하는 공간,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이름이 주어진 기억장소
ex) let, const
* 변수는 변수이름(Variable name), 식별자(identifier)라고 부른다.
* 변수 선언을 하고 값을 할당하게 되면 메모리 어딘가에 값이 저장되며
이런 메모리는 메모리 셀마다 그에 해당하는 주소를 가지고 있다.
(요약 : 변수는 메모리 어딘가에 값이 할당이 된다. 선언된 변수는 메모리주소를 가르키고 있다.)
Q. 그렇다면 변수가 아닌 메모리 주소자체를 변수로 사용해도 되지않나?
A. 변수이름이 너무너무 길다. 해당 변수가 무엇을 가지고 있는지 유추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메모리주소를 직접 사용하지 않는다.
* 변수 네이밍 규칙
> 라틴문자(0-9, a-z, A-Z,) 및 언더버 ( _ ) 사용 권장
> 대소문자를 구분해야함
> 추천: camelCase (likeThis) ✅
> 한국어 ❌
> 예약어 ❌
> 숫자로 시작 ❌
> 특수문자 ❌ ( _ , $ 두가지는 예외)
> 이모지 ❌
> 여러개의 변수를 1, 2, 3 숫자로 구분 ❌ -> 최대한 의미있게, 구체적인 이름으로 작성!
: img1, img2, img3과 같이 의미없는 변수 사용은 가급적 자제할것
* 상수 할당
> 대문자로 작성, 단어와 단어사이에는 언더바 ( _ ) 를 이용해주어야한다.
: ex) const MAX_FRUITS = 5;
> let myAge = 20;
> let backgroundAudio;
> let windAudio;
* 꿀팁 (팀마다 다를수 있으니 참조!)
ex) let audioBackground; let audioWind;
=> audio만 적어도 audio관련된 변수 및 함수들이 전부 나온다.
'Study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_study] null과 undefined 타입 (0) | 2022.04.10 |
---|---|
[JavaScript_study] 숫자, 문자, 불리언 타입 (데이터 타입) (0) | 2022.04.10 |
[JavaScript_study] 자바스크립트 정의 (0) | 2022.04.10 |
[JavaScript_study] ECMAScript란? (0) | 2022.04.10 |
[JavaScript_study] DOM & EVENT 이벤트 버블링, 이벤트 위임 (0) | 2022.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