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 타입
> 원시(primitive) : 단일 데이터
: number, string, boolean, null, undefined, Symbol
> 객체(object) : 복합 데이터 // 원시 타입을 제외한 나머지 전부
: object, array, function
* 숫자 타입 예시 : 숫자 아무거나 할당할 수 있다.
> let integer = 123; // 정수
> let negative = -123 // 음수
> let double = 1.23; // 실수
> let binary = 0b1111011; // 2진수
> let octal = 0o173 // 8진수
> let hex = 0x7b; // 16진수
* 숫자를 나누었을때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값
> console.log(0 / 123); // 0
> console.log(123 / 0); // Infinity
: 0으로 나누면 무한에 수렴하기 때문에 infinity라는 값이 나오게 된다.
> console.log(123 / -0); // -Infinity
> console.log(123 / 'text'); // NaN (Not a Number)
> let bigInt = 15267236789178931231421114144124n; // BigInt
: 마지막에 n을 붙여줌으로 큰수를 가지고 있다는 표시를 해준다.
[참고자료] Infinity에 관한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t=32&v=NKmGVE85GUU&feature=youtu.be
* 문자열타입
> let hi = '안녕하세요'; // 따옴표를 이용
> hi = `안녕!`; // 백틱을 이용
> hi = '"안녕!"' // 따옴포를 출력시 반대되는 따옴표를 쓰면 된다.
* 특수문자 출력
> let hello = '안녕하세요\n반가워요!\t\t 내 이름은 황현우 \\'
: \n = 줄바꿈, \t = 탭, \\ = 백슬러쉬 표현
> 유니코드 출력 : \u
: ex) \u09AC
* 템플릿 리터럴 (Template Literal)
> let id = 'Hyeonwoo';
> let greetings = "안녕" + id + "입니다";
> let greetings = `안녕 ${id} 입니다`
[참고자료] 이스케이프 표현 모음 링크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String
* 불리언 타입
> let 참 = true;
> let 거짓 = false;
* 활용 예시 (is + 참거짓의 대상 : 일까아닐까의 의미를 가질수 있도록 변수명을 작명해준다.)
> let isFree = true;
> let isActivated = false;
> let isEntrolled = true;
* Falsy 거짓인 값 (true, false값을 출력하기위해 임시로!!를 붙여준거임, 거짓의 거짓 = 참의 원리를 이용함)
> console.log(!!0);
> console.log(!!-0);
> console.log(!!'');
> console.log(!!null);
> console.log(!!undefined);
> console.log(!!NaN);
* Truthy 참인 값
> console.log(!!1);
> console.log(!!-1);
> console.log(!!'text');
> console.log(!!{});
> console.log(!!Infinity);
// typeof: 데이터 타입을 확인
// 값을 타입 문자열로 반환
let variable;
console.log(typeof variable);
variable = '';
console.log(typeof variable);
variable = 123; // ⬅ 할당된 값에 따라 타입이 결정됨!
console.log(typeof variable);
variable = {};
console.log(typeof variable);
variable = function () {};
console.log(typeof variable);
variable = Symbol();
console.log(typeof variable);
console.log(typeof 123);
console.log(typeof '123');
'Study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_study] 객체 타입(object) (0) | 2022.04.10 |
---|---|
[JavaScript_study] null과 undefined 타입 (0) | 2022.04.10 |
[JavaScript_study] 변수 선언 및 할당 (0) | 2022.04.10 |
[JavaScript_study] 자바스크립트 정의 (0) | 2022.04.10 |
[JavaScript_study] ECMAScript란? (0) | 2022.04.10 |